아이돌봄 서비스를 신청하려고 마음먹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 바로 "얼마나 드는 걸까?" 아닐까요? 특히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처럼 경제적인 부담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요금과 지원 비율이 더더욱 중요하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아이돌봄 서비스 요금과 정부지원 비율을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실제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얼마나 되는지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 기본 요금은?
아이돌봄 서비스는 돌보미의 자격, 서비스 형태, 이용 시간에 따라 요금이 조금씩 달라져요. 2025년 기준 기본 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유형 | 기본 요금 (1시간 기준) |
---|---|
시간제 돌봄 | 12,000원 |
종일제 돌봄 (8시간 기준) | 96,000원 |
긴급·야간 돌봄 | 14,000원 |
※ 상기 요금은 기본 요금 기준이며, 공휴일, 심야시간, 돌보미 등급(일반/전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부 지원 비율,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가 요금의 일부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실제 부담금은 훨씬 낮아질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정부지원 구간 및 지원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 구간 | 중위소득 기준 | 정부 지원율 |
---|---|---|
가형 | 중위소득 75% 이하 | 85% |
나형 | 75% 초과 ~ 120% 이하 | 75% |
다형 | 120% 초과 ~ 150% 이하 | 60% |
라형 | 150% 초과 | 지원 없음 |
실제 부담금 예시
예를 들어, 시간제 서비스를 2시간 이용한다고 가정해볼게요. 기본 요금은 시간당 12,000원이니 2시간이면 24,000원이겠죠?
- 가형 (85% 지원): 본인 부담금 약 3,600원
- 나형 (75% 지원): 본인 부담금 약 6,000원
- 다형 (60% 지원): 본인 부담금 약 9,600원
- 라형 (지원 없음): 본인 부담금 24,000원 전액 자부담
이처럼 정부 지원 대상인 경우, 실제 부담금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기 때문에 가족의 경제적 상황에 큰 도움이 돼요. 신청할 땐 꼭 소득 기준 확인하고, 지원 대상 등록을 놓치지 마세요!
이용 시 참고사항
- 📌 돌봄 서비스는 최소 2시간 이상부터 예약 가능해요.
- 📌 월 최대 이용 시간은 지원 유형에 따라 제한이 있어요. (예: 종일제는 월 200시간까지)
- 📌 모바일 앱에서 실시간 요금 확인과 이용 내역 조회 가능하니 적극 활용해보세요.
맺음말
요즘처럼 물가도 오르고 육아비용도 만만치 않은 시기, 정부의 아이돌봄 서비스는 부모님들에게 정말 큰 힘이 될 수 있어요. 요금을 정확히 알고, 나에게 맞는 지원 혜택을 챙기는 것만으로도 부담이 훨씬 줄어들죠.
다음 편에서는 실제 서비스 이용 후기와 함께 돌보미 선택 팁과 주의사항을 안내해드릴게요. 서비스를 이용해볼까 고민 중이라면 꼭 참고해보세요!
👉 다음 글 예고: “실제 이용 후기 & 돌보미 선택 팁과 주의사항 총정리”